'오징어게임' 황동혁 감독 "전세계 흥행에 롤러코스터 타고 있는 중..시즌2 당분간은 NO"
'오징어게임' 황동혁 감독 "전세계 흥행에 롤러코스터 타고 있는 중..시즌2 당분간은 NO"
[미디어리퍼블릭 = 박준식 기자] 테드 사란도스 넷플릭스 공동 최고경영자(CEO) 겸 최고 콘텐츠 책임자(CCO)도 이례적으로 '오징어 게임'을 언급하며 "넷플릭스가 현재까지 선보인 모든 작품 중 가장 큰 작품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까지 말했다.
황동혁 감독은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넷플릭스의 화제작 ‘오징어 게임’이 나오기까지 과정을 ‘모험’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모 아니면 도라고 생각했다. 이 작품은 사실 말도 안 되는 이야기지만 남녀노소나 인종을 뛰어넘어 전 세계가 좋아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자는 야심으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말 그대로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오징어게임'의 황동혁 감독을 만났다. 미국 넷플릭스 오늘의 Top 10 6일 연속 1위일 뿐 아니라 미주, 아시아, 유럽, 중동, 아프리카 등 전 대륙에 걸쳐 수십 여 국가 넷플릭스 오늘의 Top 10 1위 및 상위권 진입, 로튼 토마토 신선도 100% 등 글로벌 신드롬을 이어가고 있는, 현재 전 세계 최고의 화제작이라 할 수 있는 작품이다.
황 감독은 28일 화상 인터뷰에서 “‘킹덤’ 덕에 갓이 유행했대서 찍으면서 ‘달고나 같은 게 비싸게 팔리는 것 아니냐’고 농담을 했는데 그게 실제가 돼서 얼떨떨하다”고 소회를 밝혔다. 극 중에는 달고나에 그려진 도형 모양을 자르는 추억의 게임이 나오면서 ‘달고나 키트’가 아마존 등 전 세계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거래되고 있다. 넷플릭스 공동 CEO인 테드 서랜도스도 “넷플릭스 작품 중 최고 흥행작이 될 수도 있다고”고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
황 감독은 “가장 한국적인 게 가장 세계적이다’는 말은 누구나 해왔다“며 방탄소년단과 봉준호 감독이 그랬던 것처럼 저는 단순한 한국의 옛날 놀이이지만 세계적으로 호소력이 있을지 모른다는 가능성을 보고 작업했다”고 소회를 밝혔다. ‘오징어 게임’은 사회의 벼랑 끝에 몰린 456명의 참가자가 상금 456억원을 얻기 위해 목숨을 걸고 추억의 게임을 한다는 설정을 담은 9회 분량의 드라마다.
황 감독은 2008년에 처음 이 작품을 기획했지만 투자자를 구하기 어려웠다. 당시 ‘난해하다’ ‘기괴하다’는 평을 들으면서 서랍 속에 잠들어있던 ‘오징어 게임’은 10여년 뒤 빛을 발했다. 그는 “이번 작품을 만들면서 현실감 있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 10년이 지난 세상이 서바이벌에 어울리는 서글픈 세상이 된 게 원인”이라며 “전 세계가 게임에 열광하고 남녀노소 가상화폐와 주식 부동산에 돈을 건다”고 설명했다.
수많은 서바이벌 장르 콘텐츠 중에 ‘오징어 게임’이 유독 성공한 이유를 묻자 황 감독은 “‘오징어 게임’은 ‘루저’들의 이야기다”라며 “다른 게임물은 어려운 게임에 영웅을 내세워서 승자가 되는데, ‘오징어 게임’은 영웅도 천재도 없다. 주인공 기훈(이정재)은 남의 도움으로 한 단계 한 단계 나아간다”고 말했다.
극 중 등장하는 ‘징검다리 게임’은 감독이 말한 ‘오징어 게임’의 가장 상징적인 게임이다. 이 게임에서 낭떠러지 길을 건너기 위해선 18차례 일반 유리 발판을 피해 강화 유리 발판을 밟아야 한다. 확률은 반반이다. 주인공 기훈은 우연히 참가자 16명 중 마지막 차례가 된다.
황 감독은 “앞사람이 끝까지 가야 뒤에 있는 사람이 살 수 있는 게임이다”며 “승자는 패자의 시체 위에 떠 있는 것이고 패자를 기억해야 한다는 주제 의식에 가장 잘 와 닿는 게임이었다”고 전했다. 극 중 이 게임을 통과한 기훈은 “앞사람 덕분에 끝까지 왔다”며 자신의 노력만으로 성공했다고 믿고는 앞사람을 밀어버린 상훈(박해수)과 크게 다툰다.
황 감독은 “이런 작품을 형식과 분량과 관계없이 자유롭게 만들 수 있는 곳은 넷플릭스밖에 없었다. 전 세계에 동시에 공개해 일주일 만에 말도 안 되는 관심도 받았다”고 감사함을 전했다. 그러면서 시즌2에 관해선 “시즌1을 하면서 이가 6개나 빠져서 당분간 쉬겠지만, 너무 많은 분이 좋아해 줘서 안 한다면 난리가 날 것 같다”며 “떠오르는 아이디어가 몇 개 있다”고 긍정했다.
'오징어 게임'은 일본 영화 '신이 말하는 대로' 등 표절 논란이 일기도 했다.
황 감독은 "내가 생각하는 가장 큰 차이점은 ('오징어 게임'은) 게임보다 사람이 보이는 작품이라는 점이다. 전 세계 남녀노소 누구든 30초 안에 게임 룰을 이해할 수 있어 사람 감정에 집중할 수 있다"며 "또 다른 작품은 한 명의 영웅을 내세우지만, 이 작품은 '루저'의 이야기다. 어떤 영웅이나 승자도 없다"고 설명했다.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의문의 서바이벌에 참가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극한의 게임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담은 '오징어게임'은 넷플릭스에서 볼수 있다.